2025. 2. 5. 00:15ㆍ여행의 추억
![](https://blog.kakaocdn.net/dn/bYjnG0/btsL52xqnr0/kRSzWAc396AOyaDcUKoh50/tfile.jpg)
* 慶州 龍明里 三層石塔
* 보물
* 현지 안내판(요약)
삼층석탑 주변은 일찍이 민가가 들어서 절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마을의 옛 이름이 명장리였기 때문에 '명장리 삼층석탑'으로 불려 왔다.
탑은 2층으로 된 바닥돌에 3층으로 몸돌을 올린 일반적인 신라 석탑 형식이다. 바닥돌은 아래, 위층 모두 모서리기둥과 2개의 안기둥을 새겼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만들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모두 5단이고 처마 모서리를 가볍게 치켜 올렸고, 풍경을 달았던 구멍이 남아 있다. 머리장식은 없어진 상태였으나 2005년 건천초등학교에 있던 받침돌인 노반을 옮겨와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1943년에 해체, 수리할 때 청동 불상 1구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탑 외형은 단순하지만 8세기 신라 석탑의 반듯함을 보여 주는 우수한 작품이다.
![](https://blog.kakaocdn.net/dn/ROwlO/btsL4RDplyA/rLdsALpVBnKnEC21r2uqAK/tfile.jpg)
* 답사 노트: 내비게이션을 켜고 찾아갔는데 용명리에서 아슬아슬한 농로와 겨우 지날 수 있는 골목을 꼬불꼬불하게 돌아 석탑에 도착했다.
마을 가운데 선 석탑 모습이 어색하지 않고, 생김새가 의젓해 첫눈에 들었다. 받침돌과 몸돌, 지붕돌 처마 등이 일부 훼손돼 있었으나 아담하고 말끔해 예뻐 보였다. 탑 주변으로는 민가가 들어서서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마을은 삼층 석탑이 있는 덕분에 탑골이나 탑리(탑동)로 불린다. 현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경주 개 '동경이* 마을'로 더 유명했다. 집집이 담벼락이나 대문에 토종개 동경이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8세기 신라 탑이 21세기에 마을의 이름을 지어주고 절터는 주민에게 내줬으니 크게 보시한 셈이다.
석탑에서 나올 때는 큰길로 바로 나올 수 있었다.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용명리 삼층석탑을 다녀오려면 '동경이 마을'을 입력해 가면 편하게 다녀올 수 있겠다. (2025.2.4.)
* 동경이(東京이): 우리나라 토종 개의 한 품종으로 예전부터 경주에서 주로 키우던 꼬리가 짧은 개.
![](https://blog.kakaocdn.net/dn/t7FzG/btsL4ZnQ0Es/tdKhvAat1HI6VBBy5KHJy0/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k1wFb/btsL4w0IIDn/yGZ8lpugBtp1cWLjwM9ho0/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dZqduE/btsL6tab03A/F6af1TX7VinDK2aD4K1d8k/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F4HYr/btsL6kYRlMA/lpDUsOfVoMLSm4tFnS6uK1/tfile.jpg)
'여행의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당간지주와 석조 6곳 (0) | 2025.02.06 |
---|---|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 석탑 (0) | 2025.02.06 |
경주 황오동 삼층 석탑 (0) | 2025.02.04 |
합천 해인사 삼층 석탑 (0) | 2025.02.04 |
경주 남산동 동, 서 삼층 석탑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