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2025. 1. 19. 08:24여행의 추억

728x90

정면(동쪽)에서 바라본 마애불상군.


* 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
* 국보
* 현지 안내판(요약)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은 칠불암 내에 있는 바위 면에 새겨진 7구의 불상들을 지칭한다. 동쪽을 향한 넓은 바위 면에 삼존상이 있고, 삼존상 바로 앞의 네모난 돌기둥에는 면마다 불좌상이 새겨져 있다. 본존과 두 보살로 된 삼존상, 돌기둥의 네 면에 새겨진 사방불을 합쳐 모두 7구의 불상들이 새겨져 있으므로 암자의 이름을 칠불암이라 부른다. 이곳에 있던 원래의 사찰 이름은 밝혀지지 않았다.
불상군의 핵심 불상은 삼존불 중앙의 불좌상이다. 이 불상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가사를 걸치고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사방불은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손 모양을 취하고 있는데, 정면에 해당하는 동쪽 면의 불상은 약그릇을 지니고 있어 약사불임을 알 수 있다. 삼존상의 뒤쪽에는 여러 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또 돌기둥 위에 홈이 파여 있고, 주변에 기와 조각들이 흩어져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이곳이 원래 지붕을 얹은 석굴 사원으로 추정된다. 이 주변에서 약사경과 금강경을 새긴 석경의 파면들이 발견되어 복과 장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민간의 약사 신앙과 관련된 사찰로 보인다. 석불의 제작 시기는 석굴암 본존불보다 앞서는 것으로 보고 있다.

남쪽에서 바라본 마애불.
북쪽에서 바라본 마애불.
북동쪽에서 바라본 마애불.
법당에서 바라본 서면 마애불


* 답사 노트: 1989년쯤 산행하면서 남산의 칠불암을 한 번 다녀온 적이 있었다. 그동안 잊고 지내다가 경주 답사 여행하면서 칠불암이 떠올라 다녀왔다. 예전에는 서출지에서 출발했는데 오늘은 12:30, 염불사지에 차를 주차하고 2.2km 정도 산길을 올랐다. 평일이라 오가는 사람이 별로 없어 산길은 적막강산이었다. 뒤따라온 젊은이가 추월하더니 곧 시야에서 사라졌다. 비호처럼 날랬다. 숨을 삭이느라 쉬어가면서 한 시간 만에 칠불암에 도착했다.
칠 불은 산 중턱의 크고 너른 바위와 기둥처럼 솟은 사각 바위에 새긴 마애불이었다. 너른 바위에는 삼존불을, 사각으로 네모 난 바위에는 한 면에 불상 하나씩 사방불을 부조했다. -현지 안내판에 따르면- 일곱 불상 마애불로 칠불암이라 부른다. 옛 절의 이름은 알 수 없다고 한다. 마애불을 앞에서, 옆에서 둘러봐도 여섯 불상이다. 남, 동, 북면은 보였지만, 서면 쪽은 반대편이라 보이지 않았다. 불상군은 통일신라 시대인 8세기 중엽에 조성했다는 데도 옛 모습 그대로 간직하여 어제의 그것처럼 생생했다. 오히려 천 년 넘은 세월의 더께에 더 진중해 보였다. 마애불을 보면  -조각의 느낌은 현지 안내판 참고 삼고- 가장 먼저 산속에서 숙식하며 오랜 기간 조각에 몰두했을 위대한 석공들의 신심과 예술혼을 상상해 본다. 그들의 노고가 그대로 전해지는 것 같아 가슴이 벅차 올랐다. 불단 앞 좁은 터에 모아 놓은 많은 부재와 탑재들이 당시의 사찰 규모가 예사롭지 않았음을 짐작하게 했다.
암자에 주석하는 비구니 스님이 인기척을 듣고 밖으로 나왔다. 차 마시러 들어오라고 했다. 목을 축일 겸 법당에 들었다. 작은 법당은 북쪽 벽면을 유리창으로 터 창을 통해 마애불이 훤히 보였다. 보이지 않던 서면의 마애불이 또렷했다. 덕분에 사면의 칠 불을 모두 다 봤다. 스님이 무 차를 끓였다. 말랭이의 심심한 맛이 건조한 입을 적셨다. 스님의 법명은 명정(明靜)이었다. 대구 ○○사에서 운영하는 ○○불교대학 프로그램을 십 년째 이수하다가 출가했다고 한다. 깜짝 놀라 스님 한 번, 마애불 한 번 쳐다보면서 차를 마셨다. 산중 암자에서 수행하는 스님은 차분하면서도 밝은 분이었다. 성불하시라 인사하고 법당을 나왔다. 칠불암에서 멀지 않은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에 가려고 발길을 옮겼다. (2025.1.17.)

명정 스님
칠불암
법당에서 본 마애불상군.
칠불암 등산로 나들목 입구에 봇짐을 두는 공간. 칠불암에서 마련한 모양이다.



'여행의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영지 석불좌상  (0) 2025.01.17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0) 2025.01.16
경주 율동 마애여래 삼존입상  (0) 2025.01.13
경주 서악동 고분군과 김유신 묘  (0) 2025.01.12
신라대종을 보고  (0)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