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5. 00:36ㆍ여행의 추억

2021년 4월 28일 故 이건희(1942~2020) 삼성그룹 회장 유족은 국보와 보물을 비롯한 문화유산 21,693점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기증품 가운데 대구, 경북 지역의 문화와 관련 있는 국보 <대구 비산동 원삼국시대 청동기>와 보물 <경상북도 고령 지산동 삼국시대 장신구, 무기, 마구>를 대구박물관에 전시 중이었다.
1. 국보, 대구 비산동 원삼국시대 청동기(창과 꺾창)

국보로 지정된 '대구 비산동 원삼국시대 청동기(창과 꺾창)'는 1956년 8월, 대구 와룡산 북쪽 산자락을 지나던 주민이 비 온 뒤, 땅 위에 노출된 것을 우연히 발견했다. 제작 연대는 서기전 1세기부터 서기 1세기까지로 본다.
2. 보물, 경북 고령 지산동 삼국시대 장신구, 무기, 마구






* 자료: 국립대구박물관 전시 안내 글 요약
3. 후기 노트: 대구박물관 전시 국보를 보러 갔다. 3점뿐이었다. 250만 대도시의 국립박물관 상설 국보가 달랑 3점뿐이라니 문화도시라는 게 살짝 실망스러웠다. 한편으로 특별 전시실에 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기증품 중 대구, 경북 지역 관련, 국보와 보물을 전시하고 있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삼국시대의 국보 1점과 보물 몇 점이었다. 기증품 중에서 대구, 경북 관련 국보와 보물이 이것 뿐인지 의문이 들기도 했다. 전시실 출구 벽에 '이번 전시로 잠시나마 문화유산을 향유하며 풍요로운 일상이 되었길 희망' 한다는 박물관의 인사 글이 고마운 말씀임에도 와닿지 않았다. 솔직히 전시품이 국보나 보물이라지만, 아쉬움이 느껴졌다. 범부의 생각에는 아무리 국보급 문화유산이라 하더라도 시선 가치(視線價値)가 있을 것만 같았다. 대구박물관 측은 더 나은 국보를, -임대해 오더라도- 더 다양하게 전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욕심으로는 개관 30주년이 되도록 상설 국보 3점(금동여래입상, 금동보살입상 2점) 이라면 가성비가 좀 그렇지 않은가 싶다. (2025.2.11.)

'여행의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국보) (0) | 2025.02.17 |
---|---|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국보) (0) | 2025.02.17 |
칠곡 정도사지 오층 석탑 (1) | 2025.02.14 |
국립대구박물관 상설 국보(3점) (0) | 2025.02.14 |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