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8. 07:19ㆍ여행의 추억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보려고 백율사 주차장에 도착했다. 200여m 지척에 굴불사지이고, 백율사는 400여m 떨어져 있는데 주차장 이름이 백율사 주차장이다. 아마 백율사 유명세에 그렇게 작명했을 듯하다. 백율사 옛 이름은 자추사고, 자추사는 이차돈 순교를 추모하려고 세운 절이었다. 법흥왕 측근으로 신라 귀족 -성은 朴 아니면 金인- 이차돈이 불교를 국법으로 허용해 줄 것을 주장하다 순교했다. 목을 베자 흰 젖이 한 길이나 솟구쳐 올랐고 하늘에서는 꽃비가 내렸다. 그리고 북산(현재 소금강산) 서쪽 고개에 장사 지내주고 절을 지어주었다. 이차돈 목이 날아와 떨어진 절이라는 백율사(자추사)는 몇 번 탐방한 바가 있어,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만 보기로 했다.
굴불사는 -삼국유사에- 신라 제35대 경덕왕이 백율사를 찾았을 때 땅속에서 염불 소리가 들려와 파 보니 이 바위가 나와, 네 면에 불상을 새기고 절을 지어 굴불사라 했다. 지금은 터만 남았다. 석조사면불상은 -현지 안내판에- 서쪽 면에 아미타여래, 북쪽 면에 미륵불, 동쪽 면에 약사여래 남쪽 면에 석가여래를 배치해 사방불 형식을 따랐다고 한다. 백율사 바로 아래, 불상을 만들어 또 굴불사를 지었다. 신라는 불교를 삼국 시대에서 가장 늦게 받아들였지만, 가장 번성했다. 천이백 년 전 조각이 아직도 섬세하고 아름다웠다. 불두가 사라진 불상은 안타까움을 느끼게 했다. 사람들은 시계 방향인 서북 동남쪽으로 돌면서 기도했다. 그들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멀찍이 기다리다 사진을 담았다.
석조사면불상에 도착했을 때 관리인이 비질하고 있었다. 땅바닥을 깨끗이 쓰는 일이 오히려 자기 마음을 청결히 닦는 수양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질 하는 모습에서 얼마 전 마음에 담은 황유원 시인의 시 '아침'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네팔의 라이족은 손님이 떠난 후 비질을 하지 않는다/ 흔적을 쓸어낸다 생각해서/ 손님은 떠나기 전 직접 마당을 쓴다/ 자기가 남긴 흔적 스스로 지우며/ 폐가 되지 않으려 애쓴다/ 깨끗한 마당처럼만 나를 기억하라고/ 쓸어도 쓸어도 쓸리지 않는 것들로/ 마당은 더럽혀지고 있었고/ 어차피 더럽혀지는 평생을 평생/ 쓸다 가는 것이겠지만/ 무엇보다 듣기 좋은 건/ 아침에 마당 쓰는 소리 (하략)
시인에게서 가끔 성자의 모습을 본다. 오늘 본 비질하는 관리인처럼. (2024.8.30.)
* 현지 안내판 기록 의견
(수정할 부분) 금고(金鼓) : 쇠로 만든 북
(의견) 금고(金鼓) : 북 모양의 종
(이유) 쇠로 만든 북이란 한자의 뜻풀이에 충실히 따른 해석. 절에서 여러 사람을 모을 때 치는 북 모양의 종을 금고라고 부르고 있다.
'여행의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0) | 2024.09.13 |
---|---|
경주국립박물관에서 (0) | 2024.09.09 |
경주 흥덕왕릉의 비련 (0) | 2024.09.04 |
경주 원성왕릉(괘릉) (0) | 2024.09.02 |
원각사지 십층석탑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