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 4. 08:39ㆍ여행의 추억

* 덕봉정사(경북도 문화유산자료)
* 지정(등록)일: 1995.12.1.
* 국가유산청 해설
덕봉 이진택(1738∼1805)이 말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후진을 양성하고 학문을 연마하던 곳이다.
이진택은 조선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 병조 정랑을 거쳐 사헌부 장령을 지낸 바 있다. 또한 1793년 사노비 혁파를 주장하는 상소를 올려 사노비를 없애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개혁론의 여파로 순조 1년(1801)에는 공노비 해방을 보게 되었다.
광무 9년(1905)에 그의 증손인 이우영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 이 정사는 토함산 기슭에 있으며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건물은 'ㄴ'자 형태로 짓고, 앞에는 작은 연못을 두어 먼 곳의 넓은 들판과 함께 수려한 자연 경관을 이룬다.

* 탐방 노트: 덕봉정사(德峯精舍)는 조선 시대 문신인 덕봉 이진택(1738∼1805)을 추모하려고 그의 증손인 이우영(1822~1913)이 광무 9년(1905)에 세웠다. 정자 이름을 정(亭)이라 하지 않고, 불교에서 유래한 정사(精舍)를 썼다. 유교에서도 정사는 학문 연구나 정신 수양을 위해 세운 집이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현재 경주이씨 덕봉공파문중에서 소유하고 관리하는 120년 된 문화유산이다.
덕봉정사는 -조성 시기를 알 수없는- 인공 연못을 앞에 두고 건물을 'ㄴ'자 형태로 앉혔다. 중앙 대청을 중심으로 동서 양쪽으로 방을 만들고, 창틀 위에 여의주를 문 용두를 조각해 마주 보게 붙였다. 누마루와 대청마루를 툇마루로 이어지도록 하고 연못 쪽으로 계자 난간을 설치했다. 누마루 천장에 연 꽃턱 모형을 두 개 만들어 넣었다. 마루 밑에 받치는 누하주는 폐사찰에서 가져온 석재를 이용해 세웠다. 기둥 중에서 하나는 목재만 사용했다. 덕봉정사와 경모재, 덕봉헌 등 현판은 서예가 해사 김성근이 썼다. 대청마루를 장식한 덕봉정사기 등 기문들을 사진으로 붙여두어 이색적이었다. 덕봉의 묘는 정사 들어오는 입구에 있다. (2025.4.26.)











[정자] 54. 경주 덕봉정사(德峰精舍)
덕봉 이진택(李鎭宅·1738~1805)은 낭만가객이었고 풍운아였다. 소신 있는 행정가였고 세상을 바꾸는 개혁가이기도 했다. 정조 재위 시절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 성균관 전적 예조정
www.kyongbuk.co.kr
'여행의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아가는 길 / 문정희 (0) | 2025.05.05 |
---|---|
이차돈 순교비 (0) | 2025.05.05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0) | 2025.05.03 |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 (0) | 2025.05.02 |
사천왕사 녹유신장상벽전 (0) | 2025.05.02 |